[한자와 한문의 쓰임] 한자는 글자마다 각기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말과 같이 조사나 어미의 활용이 없기 때문에 같은 글자라도 그 놓이는 자리에 따라 뜻을 나…
[한자와 한문의 쓰임] 한자는 글자마다 각기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말과 같이 조사나 어미의 활용이 없기 때문에 같은 글자라도 그 놓이는 자리에 따라 뜻을 나타내는 성분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明(밝을 명)' 자는 '明月(명월)'과 같이 앞에 놓인 경우는 '밝은 달'이라는 뜻이 되어 '月'을 수식하는 관형사의 구실을 한다. 이와 달리 '月明(월명)'처럼 '明' 자가 뒤에 놓이면 '달이 밝다'는 뜻이 되어 형용사의 구실을 한다. 따라서 한문을 알기 위해서는 이러한 쓰임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품사의 분류] 문장에 쓰인 한자를 그 뜻과 구실에 따라서 나눈 것을 품사의 분류라고 한다. 한문의 품사는 명사·대명사·동사·형용사·부사·접속사·관계사·어조사·감탄사의 9품사로 나눈다. 이 중에서 한 문장의 주성분이 되어 꼭 새겨야 하는 글자를 실사(實辭)라 하고, 문장의 부성분으로서 실사를 도와 널리 활용되는 글자를 허사(虛辭)라고 한다.
[명사]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로서 그 쓰이는 범위에 따라 다음 두 가지로 나뉜다. 곧 '人(사람 인)'이나 '木(나무 목)'과 같이 어떤 사물에 공통으로 두루 쓰이는 이름을 나타내는 보통 명사와 '李舜臣(이순신)'이나 '大韓民國(대한민국)'과 같이 어느 한 사물의 이름으로만 쓰이는 고유 명사가 있다. 먼저 보통 명사는 일반 사물의 이름으로 두루 쓰이는 말로서 고유 명사를 제외한 모든 명사는 이에 딸린다. '天(하늘 천)·地(땅 지)·山(뫼 산)·川(내 천)·花(꽃 화)·鳥(새 조)·魚(고기 어)·蟲(벌레 충)' 같은 명사가 여기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고유 명사는 사람의 이름과 같이 어느 한 사물의 이름으로만 고유하게 쓰이는 경우이다. 곧 어느 한 사람의 이름이나 한 나라의 이름, 도시 이름, 고장 이름이나 책 이름 등이 이에 딸린다.
[대명사] 사물의 이름 대신 가리키는 말로서, 문장의 중복을 피하고 그 뜻을 간결하게 하는 데 중요한 구실을 한다. 대명사는 그 가리키는 대상에 따라 인칭(人稱) 대명사와 지시(指示) 대명사가 있다. 인칭 대명사는 사람의 이름을 대신해 쓰이는 말로서 '1인칭(나)·2인칭(너)·3인칭(그)·부정칭(누구)'이 있다. 1인칭 대명사에는 '我(나 아)·吾(나 오)·予(나 여)·余(나 여)' 등이, 2인칭 대명사에는 '汝(너 여)·爾(너 이)·子(그대 자)' 등이 있다. 또 3인칭 대명사에는 '彼(저 피)'가, 부정칭 대명사에는 '誰(누구 수)·孰(누구 숙)' 등이 있다. 그 밖에 인칭의 복수에는 '等(무리 등)' 자를 붙여 '吾等(오등 : 우리들)·汝等(여등 : 그대들)'과 같이 나타낸다. 예를 들어 '我讀書(아독서)'의 我는 1인칭 대명사로서 '나는 글을 읽는다'는 뜻이 된다. 또 '子將何之(자장하지)'의 子는 2인칭 대명사로서 '그대는 장차 어디로 가려는가?'로 새기고, '彼丈夫也(피장부야)'의 '彼'는 3인칭 대명사로서 '그는 대장부이다'로 새긴다. 그 밖에 '誰稱大丈夫(수칭대장부)'의 '誰'는 부정칭 대명사로서 '누가 대장부라 일컬으랴?'로 새긴다. 지시 대명사는 사물이나 처소·방향 등을 가리키는 데 쓰이는 대명사로 다음과 같은 말들이 쓰인다. '是(이 시)·此(이를 차)'는 '이것'을, '其(그 기)·之(그/이 지)'는 '그것'을, '孰(어느 숙)·何(어느 하)·何(어느 하)'는 '어느 것'을 뜻한다.
[동사] 사물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로서, 한 문장에서 서술어의 역할을 하는 까닭에 형용사와 아울러 중요한 용언의 구실을 한다. 동사의 용법은, 동사가 체언(명사나 대명사) 밑에 놓이면 그 놓인 순서대로 새기고, 체언 앞에 놓이면 거꾸로 새긴다. 그러므로 한문을 새길 때 그 어구나 문장에서 서술어인 동사를 찾아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형용사]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 등을 나타내는 말로서, 한 문장에서 서술어의 역할을 하는 까닭에 동사와 아울러 중요한 용언의 구실을 한다. 형용사의 용법은, 형용사가 체언(명사나 대명사) 앞에 놓이거나 뒤에 놓이거나 다 순서대로 새긴다. 명사의 앞에 놓일 때에는 관형사의 구실을 하고, 뒤에 놓일 때에는 서술어가 된다. 한문은 우리말과 같이 체언에 조사나 용언에 활용 어미가 붙지 않고 그 놓이는 위치에 따라 격(格 : 문장에서 나타내는 기능)이 정해진다. 그러므로 새길 때에는 서술어인 동사나 형용사의 끝에 우리 말투에 따라 알맞은 활용 어미를 붙여 새긴다.
[부사] 주로 서술어 앞에 쓰여 그 뜻을 꾸미거나 한정하는 말로서, 사물의 시간·상태나 그 방법·정도, 행동의 긍정·부정 등을 나타낸다. 부사는 다른 품사의 글자를 빌려 쓰는 것이 많으며, 그 쓰이는 한계도 일정하지 않다. 또 한 구나 한 문장에 몇 개씩 쓰이는 일이 있어 품사 중에서 가장 복잡하다. 부사는 그 한정하려는 말 앞에 놓이는데, 그 문맥이나 글 뜻에 따라서 먼저 새겨야 좋은 것이 있고 나중에 새겨야 좋은 것이 있다.